배우기
전통혼례 절차
전통혼례의 절차는 청혼과 허혼의 양가의 ‘혼담’과 혼약이 이루어져 신랑측에서 사주는 보내 혼인 날짜를 청하는 ‘납채’, 신부측에서 혼례 기일을 정해 신랑 측에 보내는 ‘연길’ , 신랑 측에서 신부 측에 예물을 함에 넣어 보내는 ‘납폐’ 그리고 신랑이 신부 집에 가서 혼례를 치르는 예로서 지금의 혼례식의 의미를 갖는 ‘대례’와 대례 후 신부를 맞아 신랑 집으로 가는 ‘우귀’의 절차로 이루어 집니다.
대례는 전안례(奠雁禮), 교배례(交拜禮), 합근례(合卺禮)의 순서로 행하여 집니다.
-
전안례 (奠雁禮)
전안례란 신랑이 기러기를 신부 댁에 전달하면서 혼인에 대한 승낙을 구하는 절차입니다. 기러기는 안정(雁情)과 안서(雁序), 안적(雁跡)의 세가지 덕목을 지니고 있다고 하여 기러기와 같이 의리와 덕목을 갖추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교배례 (交拜禮)
부부 간에 서로 맞절로서 백년가약을 약속하고 서약을 하는 의식입니다. 우리 전통혼례에서는 혼인을 인륜지대사라 하여 부모와 하늘과 배우자에게 서약을 하는 ‘삼서정신’과 함께 남편과 아내는 모든 면에서 평등하다는 ‘평등정신’을 기본으로 두고 부부간의 예를 갖추었습니다. -
합근례 (合卺禮)
합근례란 신랑과 신부가 표주박 잔에 술을 따라 마시는 의례로서 하나의 박이 두 개의 바가지로 나뉘었다가 원 자리로 돌아와 하나가 되었음을 선언하는 의식으로 비로소 신랑 신부가 하나가 됨을 상징하고 부부의 인연을 맺어 부부의 도리를 다하겠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